2020학년도 한양대 인문계 A형
21<글의 요지>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From the beginning, rhetoric has focused on the speech act as communication. At the very least, two parties were involved, speaker and listener. The immediate and complex relationship of face-to-face communication became the model for discussing the very different situation of the writer and the reader with the introduction of a text into the situation. Reading replaces listening; but while one cannot ever re-listen (a recording is hardly the authentic performance), one can re-read a text. All of this has been obvious since Plato. The multiplicity of reading derives from, as Plato noted, the absence of the speaker, and consequently the absence of the authority that might enforce a certain understanding. Franz Kafka, we recall, seemed to see the universe from this perspective—the speaker is always absent, and, with him, any certain understanding. The “certain understanding” that has vanished with the speaker places all the burden of meaning on the reader. Hermeneutics, and therefore criticism, was born with literacy.
① Criticism starts with grasping the multiple meanings of literacy.
② The authentic performance relies on face-to-face communication.
③ Kafka gained a broader view of the world through a certain understanding.
④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identify the rhetorical aspects of the speech act.
⑤ Reading takes on an interpretative significance with the absence of the authority.
정답 및 해설
정답 ⑤
[해설]
화자, 즉 권위자의 부재로 인해 ‘의미이해’는 독자가 부담하게 되어 읽기가 다양성을 띠게 되었다. 비평이 문자 해독력과 함께 태어났나는 것은 독자의 읽고 쓰는 능력, 즉 독자의 의미 해석의 중요성을 뜻한다.
[선지해석]
① 비평은 문자해독력의 여러 의미를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② 진정한 언어수행은 대면 의사소통에 달려있다.
③ 카프카는 특정한 이해를 통해 세계에 대한 더 넓은 시야를 갖게 되었다.
④ 언어행위의 수사적 측면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⑤ 읽기는 권위자의 부재로 인해 해석적 중요성을 띠게 되었다.
해석 및 어휘
[해석]
처음부터 수사학은 의사소통으로서 언어행위에 중점을 두었다. 최소한 화자와 청자 두 당사자가 관련되었다. 직접 대면하는 의사소통의 직접적이고 복잡한 관계는 상황에 텍스트를 도입함으로써 작가와 독자의 매우 다른 상황을 논의하는 모델이 되었다. 읽기가 듣기를 대체한다. 그러나 다시 들을 수는 없지만(녹음은 거의 실제 언어수행이 아니다) 텍스트를 다시 읽을 수는 있다. 이 모든 것은 플라톤 이후 명백했다. 읽기의 다양성은 플라톤이 지적했듯이 화자의 부재, 그리고 결과적으로 특정 이해를 강요할 수 있는 권위자의 부재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기억하는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는 이러한 관점에서 우주를 보는 것 같았다. 화자는 항상 부재하고, 그와 함께 어떤 특정한 이해도 없다[부재하다]. 화자와 함께 사라진 ‘특정한 이해’는 의미에 관한 모든 부담을 독자에게 전가한다. 해석학, 따라서 비평은 문자해독력과 함께 태어났다.
[어휘]
rhetoric 수사학
authentic 진짜의, 정확한
multiplicity 다양성, 다중성
hermeneutics 해석학
literacy 읽고 쓰는 능력, 문자해독력
take something on (특정한 특질 등을) 띠다